[운영체제] 프로세스 관리
프로세스 관리 🖍
이화여대 반효경 교수님의 운영체제 강의를 듣고 작성하였습니다. 🙂
🖍 프로세스 생성
부모 프레스스가 자식 프로세스 생성 (트리구조 형성)
프로세스는 자원을 필요로 함
- 운영체제로부터 받는다.
- 부모와 공유한다.
자원의 공유
- 부모와 자식이 모든 자원을 공유하는 모델
- 일부를 공유하는 모델
- 전혀 공유하지 않는 모델
❗ 보통은 서로 CPU를 얻기 위해 경쟁하기 때문에 공유하지 않는다.
수행
- 부모와 자식은 공존하며 수행되는 모델
- 자식이 종료(terminate)될 때까지 부모가 기다리는(waite) 모델
주소 공간
- 자식은 부모의 공간을 복사한다. (binary and OS data)
- 자식은 그 공간에 새로운 프로그램을 올린다.
유닉스의 예
-
fork() 시스템 콜이 새로운 프로세스를 생성
▶ 부모를 그대로 복사 (OS data except PID + binary)
▶ 주소 공간 할당
-
fork 다음에 이어지는 exec() 시스템 콜을 통해 새롱누 프로그램을 메모리에 올림
🖍 프로세스 종료
프로세스가 마지막 명령을 수행한 후 운영체제에게 이를 알려주는 경우 (exit 을 통해)
- 자식이 부모에게 output data를 보냄 (wait) (항상 자식 프로세스가 먼저 종료된다.)
- 프로세스의 각종 자원들이 운영체제에게 반납됨
부모 프로세스가 자식의 수행을 종료시키는 경우 (abort 를 통해)
-
자식이 할당 자원의 한계치를 넘어섰을 때
-
자식에게 할당된 태스크가 더 이상 필요하지 않을 때
-
부모 프로세스가 종료 되는 경우
▶ 운영체제는 부모 프로세스가 종료하는 경우 자식이 더 이상 수행되도록 두지 않는다.
▶ 단계적인 종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