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것이자바다] chapter 4. 조건문과 반복문
chapter4
조건문과 반복문
조건문에서 if - else if - else 문
import java.util.Scanner;
public class Score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int score;
Scanner sc = new Scanner(System.in);
score = sc.nextInt();
if(score> 90)
System.out.println('A');
else if(score >80)
System.out.println('B');
else
System.out.println('C');
}
}
조건문에서 Switch문
- if문과 비슷한데 case가 많은 경우 더 깔끔해서 사용한다. switch문의 괄호에는 정수타입이나 정수값을 산출하는 연산식, 문자, 문자열이 올 수 있다. => boolean은 괄호에 올 수 없다.
public class SwitchExample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int num = (int)(Math.random() * 6) + 1; // Math.random()의 타입은 double 형.
switch (num){
case 1:
System.out.println("1번이 나옴.");
break;
case 2:
System.out.println("2번이 나옴.");
break;
case 3:
System.out.println("3번이 나옴.");
break;
case 4:
System.out.println("4번이 나옴.");
break;
case 5:
System.out.println("5번이 나옴.");
break;
// default 는 else 와 같은 경우 이다. 따라서 6일때!
default:
System.out.println("6번이 나옴.");
break;
}
}
}
반복문에서 for문
int sum =0;
for(int i=1; i<=10; i++){
sum +=i;
}
System.out.println(sum);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55.
반복문에서 while문
int sum = 0;
int i = 1;
while(i<=10){
sum += i;
i++;
}
System.out.println(sum);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55.
반복문에서 do-while문
- 처음 한번은 조건없이 반복문에 접근하는 do-while문.
import java.util.Scanner;
public class DowhileExample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ystem.out.println("메세지를 입력하세요.");
System.out.println("종료하려면 q를 누르세요");
String inputString;
Scanner sc = new Scanner(System.in);
do{
System.out.print(">");
inputString = sc.nextLine();
System.out.println(inputString);
}while(! inputString.equals("q") );
System.out.println();
System.out.println("프로그램 종료");
}
}
break문
- breka문 반복문인 for문 , while문 , do-while문을 실행 중지할 때 사용한다. (if문은 x!)
continue문
- continue문은 반복문인 for문, while문, do-while문에 사용되고, continue; 가 실행되면 조건식으로 올라간다.
public class ContinueExample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for(int i =0; i<10; i++){
if(i%2 == 0) // i가 짝수면 조건문으로 올라간다.
continue;
System.out.print(i + " "); //1 3 5 7 9
}
System.out.println();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