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혈C프로그래밍] chapter 9. C언어의 핵심, 함수

chapter 9

C언어의 핵심, 함수

09-1 함수의 정의 및 선언 Divide and Conquer: => main 하나의 함수로만 코드를 짜지말고 여러 개의 함수를 만들어 코드를 짜는 것이 효율적이다.

함수 유형:

  1. 전달인자(o), 반환값(o) ```c int Add(int num1, int num2){ // int : 반환형 Add : 함수의 이름 (int num1, int num2): 매개변수 int result = num1 + num2 ;
return result; // 값의 반환
}   // 함수 호출시 전달할 수 있는 인자의 수는 여러 개지만, 반환할 수 있는 수는 딱 한가지라는 것을 명심하자. ```	
  1. 전달인자(o), 반환값(x)
     void showNum(int num){    // void 의 뜻 : 빈.
           printf("num : %d",num );
     	  }
    
  2. 전달인자(x), 반환값(o)
     int scanfNum(void){
    int num;
    scanf("%d", &num);
       
    return num;
     }
    
  3. 전달인자(x), 반환값(x) ```c void getPrint(void){ printf(“Hello,\n”); printf(“Hello my friends\n”);

}


* return;
: return 에 아무것없이 ;만 있을 경우 값의 반환는 없고, 함수만 빠져나감을 알 수 있다. 

함수의 선언: 컴파일러에게 이런 함수가 있다고 알려주는 것
: 컴파일러는 컴파일 도중 코드에서 함수의 호출이 나올 경우,자신이 지금껏 컴파일했던 내용중에 그 함수가 있는 지 찾는다.
그리고 만약에 없으면 경고를 준다.(warnning: implicit declaration of function ‘Increment’)
따라서 main함수 뒤에 특정 함수가 나오면, main에서 그 특정함수는 컴파일이 안되어 있으므로 경고를 받을 수 있다.
하지만 함수를 선언하면 컴파일러에게 이런 함수가 뒤에 나옴을 알려주므로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c
#include <stdio.h>

int Increment(int n); // 함수의 선언. 매개변수의 이름은 생략 가능하다. 

int main(void){
  int num=2;
  num = Increment(num);
  return 0;
}

int Increment(int n){
  n++;
  return n;
}
09-2 지역변수(Local Variable)
(1)지역변수는 함수의 중괄호 안에 있는 변수를 일컫는데
지역변수가 유효한 범위는 자기가 포함된 중괄호(자신의 함수)까지만이다.
(2)그리고 지역변수는 자신의 영역을 벗어나면 자동으로 소멸된다.(호출될때마다 새롭게 할당된다는 뜻)
(3)지역 변수는 메모리 영역 ‘code’,’data’,’heap’,’stack’ 중에 stack이라는 메모리 영역에 할당된다
(4)지역 변수는 접시에 쌓듯이 할당된다.(stack: First-In-Last-Out)

예시
```c

include

void printTen(void) { int b=10; printf(“b: %d \n”, b); }

int main(void){ int a =1; printf(“a: %d \n”, a);

return 0; }

첫번째: main 함수의 호출<br>
=> main 함수가 선언되면 변수 a가 선언되고, 따라서 메모리 stack 영역에서 a라는 변수가 할당되고 1로 초기화된다. <br> 
두번째: printTen함수의 호출과 종료(반환)<br>
=> 메모리 stack영역에서 b라는 변수가 할당되어 쌓이고(FILO), 10으로 초기화된다.<br>
   이후 printTen 함수가 종료되고 main 함수로 돌아가게 되면 , printTen의 지역변수 b도 stack영역에서 사라지게 된다.(FIL0)
마지막 : main 함수의 종료 (반환)
=> main 함수의 마지막 문장 return 0;을 실행하고 main함수는 종료되고, 동시에 main 함수의 지역변수 a도 stack 영역에서 사라지게된다.
  
다양한 형태의 지역변수 : 반복문이나 조건문<br>
```c
for( int cnt=0; cnt<3; cnt++)
{
  int num=0;
  num++;
  printf("num : %d\n", num);
}

=> for문은 중괄호의 진입과 탈출을 반복하면서 이뤄지고 있는데,
따라서 for문의 변수 num은 메모리상에 할당되고 소멸됨을 반복함을 알 수 있다.


int num=1;

if (num==1)
{
  int num = 7;
  num+=10;
  printf("if문 내 지역변수 num: %d \n", num);
}
printf("if 문 밖 지역변수 num: %d \n", num);

=> 같은 이름의 변수더라도 if 문안의 printf문은 if 문의 지역변수 num을 택하고, if 문 밖의 printf문은 main함수의 지역변수 num을 택한다. (유효부분을 잘 생각하자.)

09-3 전역변수(Global Variable), static 변수, register 변수

  1. 전역변수의 특징
    1. 프로그램의 시작과 동시에 메모리 공간에 할당되어 종료 시까지 존재한다.
    2. 별도의 값으로 초기화하지 않으면 0으로 초기화된다.
    3. 프로그램 전체 영역 어디서든 접근이 가능하다.(Global)
  1. static 변수 지역 변수에 static을 붙이게되면 전역변수의 성격을 지니게 된다. 단,
    (1) 선언된 함수 내에서만 가능하다.(지역변수 특성)
    (2) 프로그램의 시작됨과 동시에 함께 메모리 공간에 올라간다.
    (3) 딱 1회 초기화되고 프로그램 종료시까지 메모리 공간에 존재한다.(전역변수 특성)
    => 즉 값이 휘발되지 않고 계속 메모리에 남기때문에 해당 변수의 함수가 종료되도 계속 살아있는다. 따라서 값이 계속 유지됨을 이용하여 공유할 수 있는 변수로 사용할 수 있다.
    ```c

    include

void simplefunc(void){ static int num1=0; int num2 =0;

num1++; // static변수라 값이 계속 유지된다. => 1,2,3 num2++; // 그냥 지역변수라 값이 유지 x. => 1,1,1

printf(“num1: %d num2: %d \n”, num1,num2);

}

int main(void){

for( int i =0; i<3; i++) simplefunc();

return 0;

}

3. register 변수 => 안쓴다. 컴파일러가 사람보다 똑똑하다.
레지스터는 cpu내에 존재하는 메모리로 크기는 작지만, 연산이 매우 빠르다.
따라서 빠른 연산의 엄청난 장점이 있지만 때문에 반복적으로 사용되는 데이터가 레지스터안에 들어가야 한다. 
근데 지역변수에 register라는 선언을 추가하면 해당 지역변수는 cpu 내의 레지스터에 저장될 확률이 높아진다. 
```c
int sosimple(void){
  register int num = 3; 
  /*
  (경고) 하지만 register 선언은 컴파일러에게 주는 힌트일뿐
  컴파일러가 내말을 꼭 들을 필요는 없다. 무시가 많이된다.
  ========================================================
  몇번 이상 빈번히 해야 register 선언이 실행되는 지는 잘 모른다.
  
  ==> 아직 써본 적은 없다. 
  */
}

09-4 재귀함수에 대한 이해(Recursive)

## include <stdio.h>

void recursive(int n)
{
  if(n==0)
    return ; //재귀 탈출
  printf("recursive call: %d\n",n);
  recursive(n-1); //함수를 처리하는 도중 recursive를 다시 호출하여 계속 recursive 하게 처리한다.   
  printf("hello: %d\n", n);//recursive를 나와서 뒤의 구문을 처리한다.
}
int main(void){

  recursive(3); 

  return 0;
}

=> 결과
recursive call: 3
recursive call: 2
recursive call: 1
hello: 1
hello: 2
hello: 3
=> 함수의 호출은 스택의 특성을 보임을 알 수 있다.(다시 공부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