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썬] 클래스 다이어그램의 의존과 실체화

클래스 다이어그램은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에서 소프트웨어 시스템의 구조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기법입니다. 이러한 다이어그램은 클래스, 인터페이스, 관계 등을 사용하여 시스템의 컴포넌트와 관계를 나타냅니다. 클래스 다이어그램은 여러 가지 종류의 관계 중에서도 의존(dependency)과 실체화(realization) 관계에 대한 설명이 중요합니다.

의존(dependency) 관계

의존 관계는 한 클래스가 다른 클래스를 사용하는 관계를 나타냅니다. 즉, 한 클래스가 다른 클래스를 호출하거나 인자로 전달하는 등의 방식으로 의존합니다. 이러한 의존 관계는 코드 내에서 import 문을 통해 다른 모듈을 가져오는 것과 비슷한 개념입니다.

class ClassA:
    def method(self):
        print("Method from ClassA")

class ClassB:
    def method(self):
        print("Method from ClassB")
        
class ClassC:
    def __init__(self):
        self.class_a_instance = ClassA()
    
    def method(self):
        print("Method from ClassC")
        self.class_a_instance.method()

위의 예제 코드에서 ClassCClassA를 사용하여 method()를 호출하고 있습니다. 이렇게 되면 ClassCClassA에 의존하고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의존 관계는 클래스 간의 결합도를 낮추어 유지보수성과 확장성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실체화(realization) 관계

실체화 관계는 인터페이스를 구현한 클래스 간의 관계를 나타냅니다. 인터페이스는 일반적인 기능과 동작을 정의하는 일종의 계약이며, 여러 클래스가 이를 구현하여 자신만의 기능을 추가할 수 있습니다.

from abc import ABC, abstractmethod

class Interface(ABC):
    @abstractmethod
    def method(self):
        pass

class ClassA(Interface):
    def method(self):
        print("Method implementation from ClassA")
        
class ClassB(Interface):
    def method(self):
        print("Method implementation from ClassB")

위의 예제 코드에서 Interface는 추상 메서드 method()를 가지고 있습니다. ClassAClassBInterface를 실체화하여 인터페이스에서 정의한 메서드를 각각 구현하고 있습니다. 이렇게 되면 ClassAClassBInterface를 실체화하고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실체화 관계를 통해 다형성을 구현하고, 코드의 재사용성과 확장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결론

클래스 다이어그램에서 의존 관계와 실체화 관계는 소프트웨어 시스템의 구조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요소입니다. 의존 관계를 적절하게 관리함으로써 결합도를 낮추고, 실체화 관계를 이용하여 다형성과 재사용성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개념을 이해하고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것은 효율적이고 유지보수 가능한 코드를 작성하는 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