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썬] 리스트의 길이(len)와 요소 접근

리스트는 파이썬에서 많이 사용되는 데이터 구조입니다. 리스트에는 여러 개의 값이 순서대로 저장되어 있으며, 각 값은 요소(element)라고 합니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리스트의 길이(len)와 요소 접근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리스트의 길이(len)

리스트의 길이는 리스트에 포함된 요소의 개수를 나타냅니다. len() 함수를 사용하여 리스트의 길이를 구할 수 있습니다. 다음은 리스트 numbers의 길이를 구하는 예제입니다.

numbers = [1, 2, 3, 4, 5]
length = len(numbers)
print(length)  # 출력: 5

위 예제에서는 len() 함수를 사용하여 numbers 리스트의 길이를 구하고, print() 함수를 사용하여 길이를 출력합니다. numbers 리스트에는 5개의 요소가 있으므로, length 변수에는 5가 저장되어 출력됩니다.

요소 접근

리스트에서 특정 요소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인덱스(index)를 사용합니다. 인덱스는 리스트의 각 요소에 할당된 순서를 나타내며, 0부터 시작합니다.

다음은 리스트 fruits에서 인덱스를 사용하여 요소에 접근하는 예제입니다.

fruits = ['apple', 'banana', 'cherry']
print(fruits[0])  # 출력: 'apple'
print(fruits[1])  # 출력: 'banana'
print(fruits[2])  # 출력: 'cherry'

위 예제에서는 fruits 리스트에서 인덱스 0, 1, 2를 각각 사용하여 첫 번째, 두 번째, 세 번째 요소에 접근하고 출력합니다. 리스트의 첫 번째 요소의 인덱스는 0이므로 fruits[0]은 ‘apple’을 반환합니다.

리스트의 요소에 접근하는 것뿐만 아니라, 슬라이싱(Slicing)을 사용하여 여러 개의 요소를 한 번에 가져올 수도 있습니다. 슬라이싱은 리스트[start:end] 형식으로 사용하며, start는 포함되고 end는 포함되지 않는 범위를 지정합니다.

다음은 리스트 numbers에서 슬라이싱을 사용하여 요소의 부분 집합을 가져오는 예제입니다.

numbers = [1, 2, 3, 4, 5]
subset = numbers[1:4]
print(subset)  # 출력: [2, 3, 4]

위 예제에서는 numbers 리스트에서 인덱스 1부터 3까지의 요소를 슬라이싱하여 subset 변수에 저장하고 출력합니다. 따라서 subset 리스트에는 [2, 3, 4]가 저장되어 출력됩니다.

이처럼 리스트의 길이(len)와 요소 접근은 파이썬에서 자주 사용되는 기본적인 기능입니다. 리스트를 다룰 때는 길이를 구하고, 필요한 요소에 접근하는 방법을 잘 숙지해두면 효율적인 코드를 작성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