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ql] SQL 데이터베이스 로그인 시 접속 제한 설정 방법

SQL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다보면 접속을 제한하고 싶은 경우가 있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를 위해 SQL 데이터베이스 로그인 시 접속 제한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몇 가지 접속 제한 설정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액세스 제어 목록 (Access Control List, ACL) 사용

ACL을 사용하여 특정 IP 주소, 사용자 이름 또는 호스트 명에 대한 접속을 제한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의 설정 파일에서 ACL을 구성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PostgreSQL에서는 pg_hba.conf 파일을 수정하여 ACL을 구성할 수 있습니다.

# IPv4 local connections:
host    all             all             127.0.0.1/32            md5
# IPv6 local connections:
host    all             all             ::1/128                 md5
# Allow connections only from specific IP addresses
host    mydb            myuser          192.168.0.100/32        md5

위의 예시에서는 192.168.0.100 IP 주소에서 myuser 사용자가 mydb 데이터베이스로의 접속을 허용합니다.

2. 사용자 계정에 접속 권한 제한

데이터베이스 사용자 계정마다 특정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접속 권한을 제한할 수도 있습니다. 여러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에서는 GRANTREVOKE 문을 사용하여 접속 권한을 관리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MySQL에서는 다음과 같이 접속 권한을 제한할 수 있습니다.

REVOKE ALL PRIVILEGES ON dbname.* FROM 'username'@'hostname';

위의 예시에서는 username 사용자가 dbname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모든 권한을 제한합니다.

3. 로그인 실패 제한 설정

로그인 실패 제한 설정을 통해 일정 횟수 이상의 실패한 로그인 시도로부터 보호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악의적인 공격으로부터 데이터베이스를 보호할 수 있습니다. 대부분의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은 로그인 실패 제한 설정 기능을 제공합니다.

예를 들어, PostgreSQL에서는 postgresql.conf 파일의 password_reuse_maxpassword_reuse_period 설정을 사용하여 로그인 실패 제한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 Enforces a maximum number of password reuse attempts
password_reuse_max = 3
# Specifies the amount of time (in days) before a previously used password can be reused
password_reuse_period = 90

위의 예시에서는 이전에 사용한 비밀번호를 3회까지만 사용할 수 있으며, 90일 이내에는 같은 비밀번호를 재사용할 수 없습니다.

결론

SQL 데이터베이스에서 접속 제한을 설정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이러한 접속 제한 설정은 데이터베이스 보안을 강화하고 악의적인 공격으로부터 데이터를 보호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의 문서나 공식 웹 사이트를 참조하여 자세한 설정 방법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참고: 이 글은 PostgreSQL, MySQL을 기준으로 작성되었습니다.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에 따라 설정 방법이 다를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당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의 문서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